정지우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지우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으며, 1994년 영화 《사로》를 시작으로 《해피엔드》, 《사랑니》, 《은교》, 《침묵》, 《유열의 음악앨범》 등 다수의 장편 영화를 연출했다. 단편 영화, 드라마 《썸바디》, 영화 각본, 촬영, 편집, 배우, 조감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저서로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가 있다. 1996년 서울단편영화제에서 《생강》으로 대상을 수상했으며, 《해피엔드》로 디렉터스 컷 시상식 신인감독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감독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 - 이병헌
1991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헌(1970년 ~ )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하고 할리우드에도 진출했으며, BH 엔터테인먼트 설립과 사회 공헌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 부일영화상 수상자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부일영화상 수상자 - 이성민 (배우)
이성민은 1968년 경상북도 봉화 출생으로 연극 무대에서 시작하여 영화와 드라마 조연을 거쳐 주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정지우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지우 |
출생일 | 1968년 5월 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기간 | 1994년 ~ 현재 |
배우자 | 곽신애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글 | 정지우 |
한자 | 鄭址宇 |
로마자 표기 | Jeong Ji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ŏng Chiu |
2. 학력
정지우는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2. 1.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다.3. 영화
정지우는 1994년 《사로》, 《스무살 젊은이에게》를 시작으로, 1996년 《생강》, 1999년 《해피엔드》, 2005년 《사랑니》, 《여섯 개의 시선》, 2008년 《모던 보이》, 2012년 《은교》, 2016년 《4등》, 2017년 《침묵》, 2019년 《유열의 음악앨범》, 2022년 《썸바디》, 2025년 《스캔들》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제작했다.
3. 1. 감독 작품
정지우 감독은 장편 영화, 단편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연출했다. 1999년 《해피엔드》를 시작으로, 《사랑니(2005년), 《모던 보이(2008년), 《은교(2012년), 《4등(2016년), 《침묵(2017년), 《유열의 음악앨범(2019년), 《스캔들(2025년) 등을 감독했다.단편 영화로는 1994년 《클리피》, 1996년 《조금 씁쓸하게》, 2006년 여섯 개의 시선 중 "배낭을 맨 소년", 2012년 정지우x김무열x조은지 ''프로젝트'' 등을 연출했다.
2022년에는 넷플릭스 드라마 《썸바디》의 감독을 맡았다.[1]
3. 1. 1. 장편 영화
3. 1. 2. 단편 영화
- 1994년: 《클리피》 - 감독, 각본, 편집
- 1995년: 《할아버지》 - 촬영, 조명, 배우
- 1996년: 《조금 씁쓸하게》 - 감독, 각본, 편집
- 1999년: 《깊고 둥글고 어둡게》 - 배우
- 1999년: 《우린 화장실을 같이 쓸 수 없어》 - 배우
- 2006년: 여섯 개의 시선 중 "배낭을 맨 소년" - 감독
- 2012년: 정지우x김무열x조은지 ''프로젝트'' - 감독
3. 1. 3. 드라마
2022년 넷플릭스 드라마 《썸바디》의 감독을 맡았다.[1]3. 2. 기타 참여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5년 | 《고양이 여자와 남자》 | 촬영, 편집, 배우 | 단편 영화 |
1995년 | 《할아버지》 | 촬영, 조명, 배우 | 단편 영화 |
1996년 | 《그냥 해》 | 각색 | 단편 영화 |
1998년 | 《스케이트》 | 조감독 | |
1999년 | 《깊고 둥글고 어둡게》 | 배우 | 단편 영화 |
1999년 | 《우린 화장실을 같이 쓸 수 없어》 | 배우 | 단편 영화 |
2005년 | 《꽃잎이 또다시 필 때》 | 감독, 각본, 편집 | |
2006년 | 《김기영에 관하여 우리가 아는 두세 가지》 | 인터뷰 | 다큐멘터리 |
2010년 | 《이끼》 | 각본 |
4. 도서
정지우는 2013년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5]를 사이언스북스를 통해 출간했다.
4. 1. 저서
From the Unknown,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Boundary|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영어 (사이언스북스, 2013)[5]5. 수상 경력
정지우 감독은 서울단편영화제, 디렉터스 컷 시상식,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연출력을 인정받았다.
5. 1. 주요 수상 내역
연도 | 상 | 작품 | 비고 |
---|---|---|---|
1996년 | 서울단편영화제 대상 | 《생강》 | |
서울단편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예술공헌상, 젊은 비평가상 | 《생강》 | ||
1999년 |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감독상 | 《해피엔드》 | |
2000년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감독상 | 《해피엔드》 | |
2009년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심사위원 특별상 | 《모던 보이》 |
참조
[1]
웹사이트
Lotte announces new JUNG Ji-woo film
http://www.koreanfil[...]
2012-02-10
[2]
웹사이트
Jung Ji-woo talks on his new film, new muse
http://view.koreaher[...]
2012-05-02
[3]
웹사이트
JUNG Ji-woo
http://www.koreanfil[...]
2012-10-01
[4]
뉴스
정해인·김고은,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 호흡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8-09-14
[5]
문서
제3부 인간 중 〈다양성 영화와 상업 영화의 절벽 같은 경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